혼종모형을 이용한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 Self-Care in Hospice Team Members by Hybrid Model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23;32(4):501-51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29
doi : https://doi.org/10.12934/jkpmhn.2023.32.4.501
1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angshin University, Changwon, Korea
2Graduate Student, College of Nursing, Changshin University, Changwon, Korea
장선희1orcid_icon, 이성주2orcid_icon, 김민영,2orcid_icon
1창신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2창신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생
Corresponding author: Kim, Minyeong Callege of Nursing, Changshin University, 262 Paryong-ro, Masanhoewon-gu, Changwon 51352, Korea. Tel: +82-55-250-3176, Fax: +82-55-297-5181, E-mail: sinvi79@gmail.com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0: RS-2022-00165771).
Received 2023 October 30; Revised 2023 December 7; Accepted 2023 December 11.

Trans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ed to clarify the concept of spiritual self-care in hospice team members.

Methods

To analyze the concept of spiritual self-care of hospice care team,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Schwartz-Barcott and Kim's hybrid model including theoretical, fieldwork and final analytic stages. In the theoretical stage,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health', 'spiritual care', and 'self-care' were set as search terms, and the resulting 107 related work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were analyzed. In the field survey stag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and spiritual expert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spiritual self-care.

Results

The concept of spiritual self-care is to realize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while constantly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oneself, neighbors, communities, and the absolute, utilize transcendence and internal resources,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e, maintain work-life balance, and achieve spiritual well-being. It was identified as a dynamic state to realize. The quality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spiritual self-care were found to have 5 attributes and 15 indicators.

Conclusion

The attributes and indicators deriv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ospice team members' spiritual self-care. In addition, as a way to continuously grow and train professional hospice team members, it can be used to develop a spiritual self-care assessment tool and an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burnout.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의료의 발달과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만성질환과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증가추세에 있고, 암은 사망원인을 조사한 이래로 지금까지 40년 동안 사망원인 1위에 자리매김하고 있다[1]. 호스피스 환자는 말기단계를 통보 받는 순간부터 죽음이라는 문제로 더 이상 치료받을 수 없다는 절망감과 질병 및 치료의 부작용으로 유발되는 여러 증상 등을 경험하게 되면서, 죽음의 본질에 대한 의문과 질문 속에서 고독감을 가지며 고통 속에서 지내게 된다[2]. 또한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 등 다양한 정서적 변화와 함께 고통을 겪으므로, 호스피스 환자는 다른 환자에 비해 많은 신체적, 심리 ․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요구도가 높아지게 된다[3].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는 팀원은 환자와 가족의 전인적인 돌봄을 위해 다른 건강전달 체계와 달리 다학제 팀으로 구성되며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자원봉사자, 약사, 영양사, 특수 치료사 등이 포함된다[4]. 호스피스팀원은 전인적인 돌봄 제공의 목표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 호스피스 철학과 정신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생각을 공유하며 업무를 수행한다[4]. 그러나 잦은 환자의 죽음을 경험하고 환자와 가족이 치료과정에서 겪는 불확실성과 의사결정의 어려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감정의 억제 또는 공격적 분출, 회복에 대한 과도한 기대나 죽음이 임박해오는 상황에서 겪는 감정적 동요를 간접적으로 함께 경험한다[5]. 그로 인해 호스피스팀원은 절망감, 무력감이나 허탈감 등의 부정적 정서를 느끼며, 역할 정체성에 대한 혼돈과 갈등이 야기되어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5,6].

소진(burnout)은 인간관계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받게 되는 정신적 압박의 결과로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 및 고갈 상태를 의미한다[6]. 소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대체로 소진을 감정적 고갈, 성취감 저하, 비인간화의 3가지 하위개념으로 구성된 종합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개념과 구분한다[6].

호스피스팀원은 인간의 모든 차원을 통합하는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호스피스 환자의 신체적, 심리 ․ 사회적, 영적인 문제들을 제한된 시간과 여건 하에 효율적으로 다루기는 쉽지 않다[7,A1]. 또한 죽음을 앞둔 환자와 가족들에게 품위있는 죽음과정이 제공되도록 돕기 위한 호스피스의 목표도 있지만 계속되는 죽음으로 인한 성취감저하와 죽음의 간접체험 등으로 인하여 높은 소진을 보이기 때문에[7], 이를 위한 돌봄이 요구된다.

감정적인 소모가 많은 호스피스팀원은 환자 및 가족을 관심있게 돌보기 위해 자신의 몸을 편안하게 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 중 하나인 자기돌봄이 필요하다[8]. 자기돌봄은 자기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전인적인 건강을 위한 행동이며[9], 인간은 자기돌봄을 통하여 신체적, 심리 ․ 사회적, 영적으로나 자신을 나 자신답게, 존재가 존재로서 살아가도록 한다[10].

영적 자기돌봄은 자신의 존재가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거나 삶의 소중한 의미와 가치를 확인하고 되새김으로써 내면의 힘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참자아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11].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소진에 대처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자기돌봄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하였고[12],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학생들을 잘 돌보기 위해 건강한 방식으로 자신을 돌봐야 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돌봄을 잘하는 교사가 심리적인 소진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13]. 자기돌봄은 일반인에게도 일상적인 건강요구 사항에 필요한 요소이므로, 특히 호스피스팀원과 같이 소진이 높은 그룹인 경우 자기돌봄의 중요성이 더 강조된다[14].

호스피스팀원을 위한 자기돌봄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영성적 측면은 그들이 돌보는 호스피스대상자가 직면하고 있는 죽음과정을 함께 동행하면서 겪는 영적고뇌가 많기 때문에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7]. 영성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종교를 중시하는 견해, 종교성뿐 아니라 비종교성도 핵심요소로 간주하는 견해, 종교성을 아예 배제하거나 비종교성을 중시하는 견해로 구분할 수 있다[A1].

이들의 견해를 통합해 보면 영성은 인간의 삶을 성취하게 하는 내적인 힘을 제공하고,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게 하며 전신을 통일하고 치유를 중진 시킨다[A1]. 또한 자신, 타인, 공동체, 사회, 자연, 의미있거나 성스러운 관계를 경험하는 인간성의 역동적이고 본질적인 측면을 가진다[15]. 대부분의 호스피스 팀원은 종교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아를 넘어선 무언가에 대한 영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죽음을 경험하면서 삶과 더 넓은 믿음 또는 가치와 연결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삶의 의미와 영성적인 의미를 가진다[10].

선행연구에서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은 환자에게 전인적 돌봄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자신의 행복감으로 인해 더 나은 돌봄을 제공한다고 하였다[15]. 이는 호스피스팀원에게 영성이 전인적 돌봄의 중요한 측면으로 강조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10].

인간의 생과 사의 경계선에서 함께 동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호스피스팀원이 지속적으로 그 직무를 이어가고 전문가로 성장하면서 더 나은 수준의 돌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의 웰빙, 탄력성 및 소진예방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은 계속 모색되어야 한다[6,16]. 그러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영성적 자기돌봄을 필요로 하는 호스피스팀원을 대상으로 영성적 자기돌봄이 무엇인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호스피스팀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영성적 자기돌봄의 개념적 속성을 규명하고 정의하는 연구가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스피스 돌봄을 제공하는 의료현장에서 호스피스팀원에게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속성과 세부 지표를 확인하고, 영성적자기돌봄 측정도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실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17]의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여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 속성을 문헌고찰 및 분석을 통하여 파악한다. 둘째, 이론적 단계인 문헌고찰에서 확인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 및 의미를 현장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분석을 통하여 재확인하고, 새로운 속성 및 의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셋째,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속성과 이론적 단계의 문헌고찰 결과에서 확인된 속성을 비교분석하여 적용을 위한 개념화가 되도록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을 개발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혼종모형은 이론적 분석과 실증적 분석을 함께 사용하는 개념분석방법으로, 영성적 자기돌봄과 같이 인식에 기초한 개념현상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방법[18]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Schwartz-Barcott와 Kim [17] 혼종모형에서 제시된 순환적 3단계인 이론적 단계, 현장작업 단계, 최종분석 단계의 순서로 분석했다.

2. 자료수집 및 분석

1) 이론적 단계

(1)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 선택

영성적 자기돌봄이란 현재까지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설된 개념은 아니다. 더구나 국내 간호학 문헌에서는 ‘영적건강’, ‘영성’, ‘영적안녕’과 뒤섞여 사용되면서 그 개념조차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으므로 종교를 포함한 사회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이에 호스피스팀원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영성적 자기돌봄의 본질을 확인하기 위해 영성과 자기돌봄이란 개념을 선택했다.

(2) 문헌검색

본 단계에서는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호스피스, 영성, 자기돌봄의 본질적 속성 및 의미, 개념적 정의를 중심으로 연구문헌을 검색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영적 차원을 건강의 주요 차원으로 상정한 시기(1984년)를 고려하여 2022년 9월까지로 하였다. 또한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의 관련 개념과 연관된 표현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유사한 표현인 ‘영성’, ‘영적안녕’, ‘영적건강’, ‘자기돌봄’, ‘호스피스팀’, ‘호스피스완화의료팀’,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팀’을 확인하여 이를 주요 검색어로 선정하였다. 국내 문헌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KISS), ScienceON (구 NDSL), 누리미디어(DBpia)을 통해 학술지논문, 학위논문, 단행본을 검색한 결과 64,918개가 검색되어 개념분석을 추가로 검색 후 중복은 제외하고 초록을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국외 문헌은 PubMed,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Google Scholar을 통해 검색했다.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health’, ‘self-care’, ‘hospice team’을 주요 개념어로 검색한 결과 1,197,127개가 검색되어, Concept Analysis를 추가 개념어로 검색 후 국내문헌과 마찬가지로 중복된 문헌 이외 논문을 대상으로 초록부터 검토한 후 발췌, 선정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국내논문 52개, 국외논문 55개, 총 107개를 선정했다(Figure 1).

Fig. 1.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process.

2) 현장작업 단계

현장작업 단계는 이론적 단계에서 도출된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의 정의와 속성을 재확인하고 새로운 속성을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 방법을 통해 자료수집 및 분석하였다.

(1) 연구자의 준비

질적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질적연구 관련 세미나와 학술대회에 참석하였고, 질적연구방법론을 수강했다. 또한 여러가지 질적연구수행에 참여하면서 심층 면담 및 필사한 자료를 통한 의미 있는 문장과 단어를 추출하고, 추상적인 언어로 구성된 문장 모음에서 주제를 도출해내는 훈련을 했다.

(2) 연구참여자 선정

연구참여자 선정기준은 호스피스팀원으로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고,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과 본질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이 높고 수행 경험이 있는 간호사, 성직자, 수도자, 상담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지 않는 자는 배제했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선정된 현장작업 단계에서의 심층면담 참여자는 총 6명이며, 이 중 기독교 2명, 가톨릭 2명, 불교 1명, 무교 1명이었다. 여성 4명, 남성 2명이었고, 60대 2명, 50대 3명, 30대 1명이었으며, 직업은 목사 2명, 수녀 1명, 상담사 1명, 간호사 2명이었다. 학력은 박사 2명, 박사수료 1명, 석사 2명, 학사 1명이었다.

(3) 자료수집

2022년 12월 21일부터 2023년 1월 20일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코로나 및 지역적인 거리로 인하여 S, A, P시에 각각 거주하는 대상자 3명은 비대면 줌(ZOOM)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C와 K시에 거주하는 대상자 3명은 대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1차 면담 후 내용분석과정에서 영성적 자기돌봄의 의미에 대한 진술이 부족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소요시간은 60~120분이었고, 참여자 1인당 1~2회 면담하였다. 대상자의 동의에 따라 면담 동안 모든 내용은 녹음 또는 녹화되었으며, 참여자의 감정과 태도 변화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기록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된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과 관련된 주요 질문내용은 ‘대상자를 돌보는 자신에게 영성적 자기돌봄을 수행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영성적 자기돌봄(자신의 영적인 부분을 돌봄)을 수행 하면서 좋았던 점은 무엇입니까?’, ‘영성적 자기돌봄을 수행하면서 힘들었거나 좋지 않았던 점은 무엇입니까?’, ‘영성적 자기돌봄수행에서 꼭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영성적 자기돌봄을 통해 얻어지는 것은 무엇입니까?’, ‘영성 적 자기돌봄이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지금까지 진행한 영성적 자기돌봄 외에 추가로 요구되는 영성적 자기돌봄이 있습니까?’ 등이었다.

(4) 자료분석

Patton [19]이 제시한 내용분석방법에 근거하여 일정한 분류체계에 따라 복잡한 자료를 의미 있고 다루기 쉬운 주제나 유형으로 조직화 및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했다. 필사한 자료 가운데 영성적 자기돌봄과 관련 있는 진술을 찾아내 밑줄을 그은 후, 반복적으로 읽고 분석한 후 영성적 자기돌봄의 개념을 떠올리게 하는 의미어를 찾아내어 따로 분류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인되는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공통적인 의미를 묶어 하위범주를 도출하고, 하위 범주를 묶어서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과 차원을 개발했다.

(5) 연구의 타당도 고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의 분석결과와 기술한 내용을 연구참여자에게 보여주어 자신이 의미한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했다. 또한, 질적연구와 개념분석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1인과 함께 연구결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했다.

결과의 타당도는 Sandelowski [20] 제시한 기준을 충족하도록 노력했다. 첫째, 모든 자료는 참여자가 직접 이야기한 내용을 똑같이 필사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둘째, 자료수집 절차와 연구참여자 모집 방법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감사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셋째, 현상을 가능한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현상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해 연구의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C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 승인(CSIRB-2023009)을 받은 후 본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목적과 취지를 연구참여자에게 면담 전 충분히 설명 후 자발적인 서면 동의를 얻었으며, 면담내용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 참여자가 면담하기 편한 장소를 선정하여 면담을 시작했다. 연구를 위해서만 면담내용은 사용되고 자료분석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폐기처분할 것과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 유지할 것임을 설명했다.

3) 최종분석 단계

이론적 단계의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본질적 속성과 의미를 현장작업 단계에서 확인된 개념의 속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의 의미와 속성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정의를 내렸다.

연 구 결 과

1. 이론적 단계

1) 영성적 자기돌봄의 사전적 의미

‘영’, ‘영성’과 ‘자기돌봄’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spirit)은 ‘인간에게 생명을 주는 원리나 활력, 사람의 모든 정신적 활동의 근원이 되는 실체’이다[21]. 영성(spirituality) 은 종종 삶에서 영감을 주고 삶의 방향을 알려주는 원천인 것으로 경험되며, 영성은 비물질적 실재들을 믿는 것이나 우주 또는 세상의 본래부터 내재하는 성품 또는 초월적인 성품을 경험하는 것을 뜻한다[22]. 자기돌봄(self-care)은 ‘전문적인 건강관리 제공자가 수행하는 활동이나 업무를 자기가 직접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과 친구의 건강관리를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9], 건강을 확립하고 유지하며 질병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 사람이 스스로 하는 것이다[15].

2) 영성적 자기돌봄의 국내외 학술문헌에 대한 고찰

영성(Spirituality)이란 종교적인 신념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것 이상의 인간의 내적자원의 총체이다[23]. 영성은 특정 종교에 상관없이 자신, 타인,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내적 자원의 의미로 확대되고 있다[16]. 영성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절대자와의 관계를 의미하는 수직적 차원과 자신과의 관계, 타인 ․ 이웃 ․ 자연과의 관계를 의미하는 수평적 차원으로 이루어진다[A2]. 인간은 영적인 차원을 통하여 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초월시킬 수 있으며 삶의 의미와 가치를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24].

자기돌봄(self-care)은 개인 자신의 삶,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에게 스스로 행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지식과 인내, 신뢰와 희망, 용기를 가지고 자신이 주체가 되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살아가는 행위[13]이다. 자기돌봄은 자신과 타인의 돌봄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고 모니터링, 신체, 정서, 대인관계, 영혼, 지적으로 고갈되는 징후를 점검, 관리하는 구체적인 행동이다[A3]. 또한 건강한 자기존중의 과정이며, 성숙의 과정[12]으로, 자신을 양육하고 신체적, 정서적으로 자신을 보충하고 회복한다고 하였다[17].

3) 개념 속성 및 지표

본 연구의 이론적 단계에서 도출된 속성은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여‘영성’과 ‘자기돌봄’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한 후 다양한 속성을 확인하고, 영성의 정의에서 개념적 특성인 궁극적이거나 신성한 가치나 의미에 대한 탐구, 종교적 경험, 초자연적 영역에 대한 믿음, 개인적인 성장, 자기내면의 정신적 차원과의 만남을 반영하여 4가지 속성 및 10개의 지표를 추출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규명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개념 속성 및 지표는 다음과 같다.

(1) 관계성(Relationship)

관계성은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상호 연결되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분리되거나 독립적, 불연속적인 것과 대비되는 말이다[25]. 관계성은 단지 나와 타인과의 관계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나와 자기 자신, 타인, 자연, 지구, 우주에 이르기까지 생물과 무생물 모두를 포함하여 모든 것과 관련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25]. 문헌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관계성 속성에는 나, 이웃, 절대자의 3가지 지표가 나타났다[A1,A2,A4].

(2) 삶의 의미와 목적(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삶의 의미는 삶을 살아가는 계획이나 이유 및 삶의 목적을 뜻할 뿐 아니라, 개인의 삶에서 ‘중요하다’ 혹은 ‘의미있다’고 판단하는 결성된 실체를 말한다[26]. 또한 이러한 삶의 의미는 개인의 영역을 넘어서서, 타인, 환경, 더 나아가 초월적인 존재와의 연결을 나타낼 때 본질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다[26]. 문헌 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삶의 의미와 목적 속성에는 삶의 의미와 목적, 소명감의 2가지 지표가 나타났다[A1,A2,A6].

(3)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은 현재의 순간에 발생하는 내적, 외적 경험에 판단 없이 의도적으로 평안함과 안정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임으로 일어나는 알아차림이다[22]. 심리학에서 마음챙김은 비판단, 현재순간, 평등하게 알아차림. 지속적인 주의, 직접적인 관찰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우리 삶의 상황을 이해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평등하게 알아차리는 마음이다[27]. 불교의 마음챙김은 마음속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의 사건을 현재의 시점에 다시 떠올려서 표상하는 것이며, 세상에 대한 욕심과 불만족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을 챙기는 것이다[27]. 마음챙김은 단일개념이라기보다는 복합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마음챙김 속성에는 명상, 강점바라보기의 2가지 지표가 나타났다[A5].

(4) 자기인식(Self-awareness)

자기인식이란 자신의 사고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대상으로서 자기를 인식하여, 타인에 의해 평가받는다는 것에 대한 염려나 타인의 존재에 대해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A6]. 문헌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자기인식 속성에는 자기인식, 자존감 형성, 긍정적 생각의 3가지 지표가 나타났다[A2].

2. 현장작업 단계

1)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개념 속성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이론적 단계에서 도출된 개념과의 비교 분석 및 통합과정을 통해 관계성, 삶의 의미와 목적, 초월성, 내적자원, 일과 쉼의 균형의 5개 속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론적 단계에서 나타난 속성의 개념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1) ‘관계성’ 속성

나, 이웃, 공동체(팀원 간 협업), 절대자와의 조화로운 관계를 갖는 속성으로써, 참여자 중 종교인은 절대자가 원하는 어떤 뜻을 실천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성장이 이루어질 때 또는 절대자와의 조화를 이룰 때 영성적 자기돌봄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수는 나 자신과의 조화, 이웃과의 조화, 공동체와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영성적 자기돌봄이 가능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① 나와의 관계성

관계성은 둘 또는 여러 대상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로 나와의 관계성은 나와 나 자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이다[9].

내 스스로가 나를 어떻게 돌볼 것인지 그 부분에 대해서 고민해요.(참여자 5)

호스피스병동에서 육체적인 고통과 함께 가는 영적 고통에 머물고 돌보다 보니 내가 너무 소진이 되는 거예요, 그래서 소진되는 내 자신을 위해 뭔가 충전해야 될 것 같아서…(참여자 5)

자기돌봄, 내 스스로가 나를 어떻게 돌보는 것인지 그 부분에 대해서 고민을 하게 되었고 제가 하는 교육 자체도… 교육 받았던 내용도… 자기돌봄과 같이 결국은 다른 사람을 돌보니까 함께 병행해서 같이 가더라는 거죠.(참여자 5)

② 이웃과의 관계성

관계성은 둘 또는 여러 대상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로 이웃과의 관계성은 나와 이웃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이다[9].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함께 있으면 내가 밝다고, 에너지가 느껴진다고 해요. 이런 감정, 이런 역동이 내 안에 올라올 때 비로소 내가 활기차고, 에너지가 생기고, 이 밝은 에너지가 돌봄이 필요한 사람뿐만 아니고, 대인 관계에서도 이렇게 전달되더라고요.(참여자 5)

③ 공동체(팀원 간 협업)와의 관계성

관계성은 둘 또는 여러 대상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로 공동체와의 관계성은 나와 공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이다[9]

호스피스병동에서 우리 같이 일하는 다학제팀의 소진이 심한 상태이기 때문에 영적 돌봄이 반드시 공유되어야 한다고 생각을 했어요.(참여자 1)

동료와 함께 더불어서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 어떤 사람은 에너지가 넘쳐서 자기 일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이 있고, 어떤 사람은 에너지가 떨어져서 굉장히 지친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호스피스병동의 다학제팀이 같이 협업을 한다면 영성을 유지하는데 굉장히 좋은 노력이라 생각이 됩니다.(참여자 1)

④ 절대자와의 관계성

관계성은 둘 또는 여러 대상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로 절대자와의 관계성은 나와 절대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이다[9].

하느님이 원하는 어떤 뜻을 실천할 수 있는 그런 도구로서의 성장이다.(참여자 5)

평범한 일상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특별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호스피스병동의 극단적인 상황을 견디게 해주고 또 다시 그쪽으로 뛰어들게 해주는 힘이라는 생각이 들어요.(참여자 6)

(2) ‘삶의 의미와 목적’ 속성

참여자는 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받아들이고 난 후 영성의 문이 열리고 내 임무, 내 역할, 내 삶의 가치가 높아지고 나의 삶을 다시 찾게 되었다고 하였다.

① 삶의 의미와 목적

삶의 의미와 목적은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정의되어 진다. 삶의 존재론적 중요성, 목표 지향성 또는 목적성, 삶에서의 일관성, 행동을 하는 의도 또는 행동의 이유 등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26].

오늘도 나를 충분히 사랑하는 하루, 사랑하는 삶을 살겠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하루를 생활 해 보는 것 나를 사랑하는 삶이 뭔지를 아는거죠.(참여자 3)

호스피스 병동에서 일하다가 코로나로 인하여 타병동으로 갔다가 다시 호스피스 병동으로 오게 되었는데, 환자를 돌볼 때 예전에 느꼈던 보람은 없어지고 부담감이 느껴져서 나 자신을 되돌아보면서 나를 찾기 위해 노력했죠… 영성을 통해 나의 삶을 다시 찾게 되었어요.(참여자 2)

② 소명감

소명감은 부여된 어떤 명령을 꼭 수행해야 한다는, 책임 있는 마음을 뜻한다[9].

호스피스병동에서는 이타적인 지수가 높아지다 보니 보람도 있습니다만 그거는 내가 느끼는 거고, 이타적인 유익을 주고 그분들에게 제공하는 무엇이 있다 보니까 나의 삶의 가치… 또 내가 하고 있는 사역의 가치 이런 것이 높아지는 것 같아요.(참여자 1)

영성의 문이 열리고 나니, 내가 바로 서고 굳건해지니까… 나에게 주어진 미션 같은 거, 내가 어떤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는가, 뭘 하려고 내가 태어났는지 등의 그런 사회적인 DNA가 확고해지는 것 같아요.(참여자 3)

내가 사회적으로 내 임무, 내 역할을 알게 되니까 일할 때 지치지가 않죠.(참여자 3)

(3) ‘초월성’ 속성

참여자는 한계를 극복하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훈련을 통해 마음이 고요해지고 평안해지면서 내적 자아성장으로 안정감, 기쁨, 보람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①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매 순간순간의 알아차림과 현재의 순간에 발생하는 경험에 판단없이 의도적으로 평안함과 안정감을 위해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이다[22].

마음이 고요해지고 평안해지면 무엇이든지 있는 그대로 보고, 지혜로운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으면서 지금 여기를 힘차게 살아나갈 수 있는 그런 힘이 얻어지는 것 같아요.(참여자 1)

② 명상

명상은 자신의 참된 자아를 깨닫기 위해서 마음을 집중시키는 일이며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22] 세상, 사물, 사람을 있는 그대로 훈련하는 것이다.

명상을 다른 말로 하면… 세상을, 사물을,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보는 훈련을 하는 게 명상이라고 하는데… 마음이 고요해지고 평화가 오면 무엇이든지 있는 그대로 보고 지혜로운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으면서 지금 여기를 살아나갈 수 있는 힘을 얻게 되는 것 같아요.(참여자 3)

③ 한계극복

한계극복은 자신의 능력이나 책임 등이 실제 작용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넘어선[9] 이후에 주어지는 안정감 및 평안함이다.

호스피스병동에서 힘들면 힘들수록 소위 말하는 임계점, 한계치를 넘기게 되는 경우가 가끔 있어요. 그것을 여러 번 넘기면서 느끼는 것은 그 한계점을 넘어간 이후에 주어지는 안정감, 평안함… 자기 돌봄의 한계점을 넘게되면 안정감도 얻게 되고 정서적으로 기쁨과 보람도 느끼고 있습니다.(참여자 6)

평범한 일상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특별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인 상황을 견디게 해주고… 또다시 그쪽으로 뛰어들게 해주는 힘이라는 생각이 들어요.(참여자 6)

(4) ‘내적자원’ 속성

참여자는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귀하고 소중한지 알게 되면, 마음의 평화가 오고, 영적인 충만함, 만족감을 느끼며 사랑과 감사를 알게 된다고 하였다.

① 자기인식

자기인식은 자신의 사고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이 어떻게 보이고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스스로 알아가는 것이다[9].

본인의 장점, 강점도 수용하지만 자신의 약점, 약함을 겸허하게 수용하는 능력(참여자 5)

상황에 따라 나에게 찾아온 마음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역량이 제일 중요하지 않을까(참여자 3)

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받아들이고 난 후에는 사회적 DNA가 장착되면서…(참여자 3)

② 자존감형성

자존감형성은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이고 어떤 성과를 이루어낼 만한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는 마음이다[22].

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깨닫게 되면 부족한 면이 있는 그 자체로도 완전하다라고… 그래서 불완전의 완 전성을 받아들이는 거죠.(참여자 3)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면서 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자각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영성적 돌봄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참여자 3)

③ 강점 바라보기

강점바라보기는 독특한 존재로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고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바라보는 것이다[22].

자신의 강점을 생각하고, 강점을 키우고, 강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그 강점을 강화시키면 약점은 묻혀서 안 보이기 때문에 약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참여자 6)

④ 전문적 역량강화

전문적 역량강화는 전문인으로서 필요한 지식과 태도, 기술을 넘어선 가치관과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 등 내적인 부분 및 외적인 부분을 강화시키는 것이다[22].

•전문직 수행능력

내가 부족해서 그분이 임종하신 건 아닐까?, 내가 좀 더 최선을 다했더라면 그분이 살아계시지 않을까?라는 심적 부담이 되었어요.(참여자 2)

호스피스에서 임종 사례를 많이 접하다 보니깐 어떤 패턴이나 리듬같은게 있잖아요. 임종기가 되면 2주전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고 1주일전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고… 가족들의 반응하는 태도는 어떻고… 많은 것들이 교집합되면서 영적돌봄을 하게되는거죠.(참여자 1)

•지속적인 교육

계속해서 전문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거든요.(참여자 1)

호스피스 환자를 더 잘 돌보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받고 있어요. 영적돌봄을 위해 CPE를 배운 적이 있는데, 1유닛이 120시간(교육)이에요. 6유닛 이상하시는 선생님도 있는데… 환자를 더 잘 돌보기 위해서는 지속적 배움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참여자 4)

(5) ‘일과 쉼의 균형’ 속성

참여자는 반성적 성찰력의 시간을 가지면서 전문가로서의 본업에 최선을 다하고, 일상생활을 평범하게 살아가면서 회복하는 온 ․ 오프의 시간이 분명해야 균형 잡힌 자아통합과 마음 ․ 몸 ․ 영의 조화를 이루게 되므로 일과 쉼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① 쉼(휴식)

쉼(휴식)은 하던 행동을 멈추고 잠시 쉬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22].

요즘 TV에서는 온 ․ 오프가 잘 돼야 된다고 하더라구요. 켜졌을 때는 전문가로서 최선을 다하고, 꺼졌을 때는 일상성을 유지하고 평범하게 살아가면서 회복하고 이 온 ․ 오프가 분명해야 되는데… 아무리 바빠도 이 온 ․ 오프를 지켜야지 극단적인 상황에 노출돼도 이길 수 있는 면역력이 생긴다고 생각을 해요. 온과 오프가 뒤집어지거나 경계선이 없으면 건강하게 일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참여자 6)

② 여가활동

여가활동은 직업상의 일이나 필수적인 가사활동 외에 소비하는 시간으로 책임으로부터 해방되어자유롭고 여유가 있는 시간, 좋은 기회를 말하는 것이다[22].

영화 보는 것도 저는 솔직히 되게 큰 돌봄이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것을 찾아서 하려고 해요. 저도 그래야지 제가 살겠더라고요.(참여자 4)

템플스테이를 신청해서 1박2일로 있다가 오는데… 마음의 평화가 느껴집니다.(참여자 2) 평소에 등산하는 것을 좋아해서 혼자서 자주 등산을 했 습니다.(참여자 2)

2)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개념

(1)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의 정의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정의는 ‘나, 이웃, 공동체(팀원 간 협업),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며, 소명감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자각하고, 명상, 한계극복, 마음챙김으로 초월성을 이루며, 자기인식으로 자존감을 형성하고 강점을 바라보면서 내적 자원을 충족시키고, 쉼(휴식)과 여가활동으로 일과 쉼의 균형을 이루면서 지속적인 교육으로 수행능력을 길러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는 역동적인 자아상태’라고 할 수 있다.

3)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 및 지표

자료분석결과, 우선 이론적 단계에서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과 지표는 ‘관계성’에서 나, 이웃, 절대자, ‘삶의 의미와 목적’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 소명감, ‘마음챙김’에서 명상, 강점바라보기, ‘자기인식’에서 자기인식, 자존감 형성, 긍정적 생각의 총 4가지 속성과 10개의 지표가 확인되었다. 그 다음 현장작업 단계를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5가지 속성과 15개의 지표가 확인되었다. ‘일과 쉼의 균형’ 속성이 추가되었고, ‘마음챙김’ 속성이 ‘초월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자기인식’ 속성이 ‘내적자원’으로 변경되었다. ‘관계성’에서는 공동체 지표가 추가되었고, ‘초월성’은 마음챙김, 명상, 한계극복, ‘내적자원’ 은 자기인식, 자존감 형성, 강점바라보기, 전문적 역량강화 지표가 확인되었으며, ‘일과 쉼의 균형’ 에서는 쉼(휴식), 여가활동 지표가 확인되었다(Table 1).

Attributes and Indicators of Spiritual Self-care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Phase and Final Analytical Phase

3. 최종 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영성적 자기돌봄

1) 최종분석으로 도출된 한국인의 영성적 자기돌봄의 정의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의하면, ‘영성적 자기돌봄이란 나, 이웃, 공동체, 절대자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자각하고, 초월성과 내적자원을 활용하며, 전문적 역량 강화 및 일과 쉼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영적안녕 실현을 향하는 역동적인 상태’라고 할 수 있겠다.

논 의

본 연구는 의료현장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호스피스팀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호스피스팀원은 고통 속에 있는 환자 및 가족을 돌볼 때 총체적 돌봄을 제공하려고 하지만, 돌봄을 어떻게 제공할지에 대한 교육 및 지식 부족으로 절망감, 무력감 등을 느끼면서 소진을 많이 경험하고 있다[A6]. 이러한 이유로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지식체를 구축하기 위해서 기초 단계에서의 개념분석은 의미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이용하여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 개념의 속성을 파악한 결과 이론적 차원에서 속성 4가지가 도출되었고, 현장단계를 거치면서 5가지 속성이 도출되었다.

영성적 자기돌봄의 이론적 단계에서 도출된 속성은 선행연구가 없어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영성’과 ‘자기돌봄’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한 결과, 관계성, 삶의 의미와 목적, 마음 챙김, 자기인식의 4가지 속성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기돌봄’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A3]에서 도출된 관계적 지지추구, 자기지각과 조절, 한계인식과 수용, 내적 안녕감 증진과 그 외, 자기돌봄 척도 타당화 연구[A7]에서도 출된 사회적 지지추구와 비슷한 맥락을 보인다. 그리고 ‘영성’과 ‘영적건강’ 관련 연구[A1,A2,A5]에서 확인된 자기인식, 삶의 의미와 목적, 자기초월, 관계조화, 연결성, 신과 관계된 경험 등과 같은 속성 또한 본 연구결과와 일부분 일치를 보였다.

그러나 자기돌봄 관련 속성 중 학습과 경력관리, 전문적 활동참여, 휴식과 건강한 신체관리, 여가활동을 통한 환기와 충전 등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였다[A3,A7]. 이와 같은 결과는 ‘영성’과 ‘자기돌봄’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선정된 다양한 속성 중에서, 영성의 일반적인 개념적 특성을 반영하여, 즉, 초자연적 영역에 대한 믿음, 궁극적이거나 신성한 가치나 의미에 대한 탐구, 개인적인 성장, 종교적 경험, 또는 자기내면의 정신적 차원과의 만남을 중점으로 재선정되었기 때문에[22] 경력, 학습, 신체관리, 여가활동 등과 관련된 속성은 제외되었다.

영성적 자기돌봄의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호스피스팀원으로써 영성적 자기돌봄을 수행하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론적 단계에서 누락되었거나 미확인된 속성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이론적 단계에서 선정된 4가지 속성은 현장작업 단계와 최종분석단계를 거치면서 총 5가지 속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관계성’ 속성으로 나, 이웃, 공동체(팀원 간 협업), 절대자를, ‘삶의 의미와 목적’ 속성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 소명감을, ‘초월성’ 속성으로 마음챙김, 명상, 한계극복을, ‘내적자원’ 속성으로 자기인식, 자존감형성, 강점 바라보기, 전문적 역량강화를, ‘일과 쉼의 균형’ 속성으로 쉼(휴식), 여가활동이 도출됐다.

첫째, ‘관계성’ 속성은 나 자신과의 조화, 이웃과의 조화, 공동체와의 조화 절대자의 조화로운 관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현장 작업 단계와 이론적 단계에서 모두 도출된 개념이다. 조화로운 관계자의 속성은 Oh와 Kang [23]의 조화로운 상호관계성을 기초로 한 것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관계조화의 속성이 자신을 개인보다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자연, 지구, 우주에 이르기까지 생물과 무생물 모두를 포함하여 모든 것과 관련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성질의 의미와 부합한 것임을 확인했다[A1].

둘째, ‘삶의 의미와 목적’ 속성은 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받아들이고 난 후 영성의 문이 열리고 내 임무, 내 역할을 알게 되면서 좀 더 삶의 가치가 높아지고 사회적인 위치가 확고해지는 것이다. 이것은 현장작업 단계와 이론적 단계에서 모두 도출되었다. 삶의 의미와 목적 속성은 삶을 살아가는 의미와 이유 및 삶의 목적을 뜻하는 것에서 기초로 한 것이다[26]. 그리고 삶의 의미와 목적을 통해 자신의 일에 소명감을 가지고 어진 마음과 봉사하는 마음으로 이것을 실현해 가는 것이다[A1].

셋째, ‘초월성’ 속성은 한계를 극복하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훈련을 통해 마음이 고요해지고 평안해지면서 내적 자아 성장으로 안정감도 얻게 되고 정서적으로 기쁨과 보람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 마음챙김 속성이 현장작업 단계에서 초월성의 지표로 흡수되어 한 단계 더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넷째, ‘내적자원’ 속성은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귀하고 소중한지 알게 되면, 마음의 평화가 오고, 영적인 충만함, 만족감을 느끼며 사랑과 감사를 알게 된다고 하였다. 이론적 단계의 자기인식이 현장작업단계에서 내적자원의 지표로 흡수되었으며, 강점 바라보기와 긍정적 생각과 결합하면서 자존감이 향상되므로 강한 내적 자원으로 활용된다고 하였다. 전문적 역량강화는 자기의 정체성과 전문인 정체성이 균형과 조화를 잘 이루기 위해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현장작업 단계에서 전문적인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은 업무 실수로 인한 자신과 타인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기에 영성적 자기돌봄에 있어 중요한 속성으로 강조하였다.

다섯째, ‘일과 쉼의 균형’ 속성은 반성적 성찰의 시간을 가지면서 전문가로서의 본업에 최선을 다하고, 일상생활을 평범하게 살아가면서 회복하는 온٠오프의 시간이 분명해야 균형잡힌 자아통합과 마음, 몸, 영의 조화를 이루게 되므로 일과 쉼의 균형은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일과 쉼의 균형이 현장작업단계에서 나타나 일과 생활 또는 일과 휴식에 할애하는 시간을 적절히 조정한다는 의미이다.

이상과 같은 영성적 자기돌봄 속성을 종합해 보면, 영성적 자기돌봄은 ‘영성적 자기돌봄으로 이르는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열린마음과 이타심으로 영적 안녕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A1].이때 영성적 자기돌봄의 지표는 긍정적 ․ 부정적 성장의 기준이 되며, 신체적, 심리 ․ 사회적, 영적 측면과 상호작용 속에서 각 영역을 역동적으로 통합 ․ 조절하는 상태이다[A1]. 호스피스가 아직 우리나라에 완전히 자리 잡히지 않았으며, 영성적 자기돌봄 및 영성적 자기돌봄 연구가 미흡하며[A1], 서로의 지지체계가 부족할 뿐 아니라 환자 수에 비해 필수 인력의 수가 부족하여 업무량 과다로 소진 및 탈진이 일어나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없어 개방성 부족 및 폐쇄적 마음이 보였다. 이점을 감안하여 호스피스팀원을 둘러싼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별적 접근이 추후 연구로 요구된다.

영성적 자기돌봄의 결과는 이타심과 열린마음으로 영적안녕을 이루어 삶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A1]. 호스피스는 임종 가까이에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곳이지만 호스피스팀원으로서 무엇을 어떻게 도와야 될지 모르는 절망감과 무력감, 역할 혼돈, 인식부족과 전문적 교육 및 훈련 미비 등에 따른 소진을 많이 겪고 있어 영성적 자기돌봄 노력이 필요하다[5]. 소진 예방을 위한 신체적, 심리 ․ 사회적, 영적인 전인적 요구[15]와 우리 자신과 팀의 요구에 책임감을 다하기 위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 열린 마음과 이타심으로 삶의 균형을 이루게 되면 영성적 자기돌봄 능력도 증진된다[A1].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기에 그 자체로 의의를 지니며, 이를 토대로 추후 호스피스팀원의 소진예방 프로그램 및 영성적 자기돌봄 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17]의 혼종모형을 이용하여 영성적 자기돌봄 속성과 본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한 개념분석연구이다. 이론적 단계에서 국내외 문헌을 통해 확인한 영성적 자기돌봄의 의미와 속성을 현장 작업단계에서 총 6명의 연구참여자와 심층면담 내용분석을 통해 확인한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최종분석 단계에서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과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영성적 자기돌봄의 개념을 ‘나, 이웃, 공동체, 절대자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자각하고, 초월성과 내적자원을 활용하며, 전문적 역량 강화 및 일과 쉼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영적안녕 실현을 향하는 역동적 상태’로 정의할 수 있겠다. 영성적 자기돌봄의 속성으로는 ‘관계성’인 나, 이웃, 공동체: 팀원 간 협업, 절대자, ‘삶의 의미와 목적’인 삶의 의미와 목적, 소명감, ‘초월성’인 마음챙김, 명상, 한계극복, ‘내적자원’인 자기인식, 자존감 형성, 강점 바라보기, 전문적 역량 강화, ‘일과 쉼의 균형’인 쉼(휴식), 여가활동, 5가지 속성과 15개 지표를 확인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팀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영성적 자기돌봄 프로그램 및 매뉴얼을 개발하고, 호스피스팀원의 영성적 자기돌봄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Notes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or/and Methodology: Jang, S & Kim, M

Data curation or/and Analysis: Jang, S, Lee, S & Kim, M

Funding acquisition: Jang, S, Lee, S & Kim, M

Investigation: Jang, S & Kim, M

Project administration or/and Supervision: Jang, S

Resources or/and Software: Jang, S & Kim, M

Validation: Jang, S, Lee, S & Kim, M

Visualization: Jang, S & Kim, M

Writing: original draft or/and review & editing: Jang, S, Lee, S & Kim, M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21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22 [cited 2022 Sept. 27].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200&bid=218&act=view&list_no=420715.
2. Lee SW, Lee EO, Park HA, Oh HS, Ahn HS, Huh DS, et al. A study on home visiting hospice care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98;1(1):39–46.
3. Reele BL. Effect of counseling on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Cancer Nursing 1994;17(2):101–112. https://doi.org/10.1097/00002820-199404000-00004.
4. Ro YJ, Han SS, Yoo YS, Yong JS. Development of task guidelines for hospice team members.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1;4(1):26–40.
5. Lee YS, Tae YS. The lived experience of th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100–109. https://doi.org/10.5388/aon.2012.12.1.100.
6.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81;2(2):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7. Yoon YJ.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 death and burnout of hospice staff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41–42.
8. Hotchkiss JT. Mindful self-care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mediate a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risk among hospice care professional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018;35(8):1099–1108. https://doi.org/10.1177/1049909118756657.
9. Naver Korean Dictionary [Internet]. Seongnam: Naver Inc.; 2023 [cited 2023 Dec. 1]. Available from: https://ko.dict.naver.com/#/main.
10. Nilsson H. Spiritual self-care management for nursing professionals: a holistic approach.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22;40(1):64–73. https://doi.org/10.1177/08980101211034341.
11. Palmer PJ. Let your life speak: Listening for the voice of vo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 117 p.
12.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psychotherapist's chronic lack of self ca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58(11):1433–1441. https://doi.org/10.1002/jclp.10090.
13. Freytag CE. Embodying and modeling healthy self-care in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hristian Community of Teacher Educators Journal 2016;11(1):1–6.
14. White A, South J, Bagnall AM, Forshaw M, Spoor C, Marchant P, et al. The self-care for people initiative: the outcome evaluation. Primary Health Care Research & Development 2012;13(4):382–394. https://doi.org/10.1017/S146342361200014X.
15. Jones SH. A self-care plan for hospice worker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005;22(2):125–128. https://doi.org/10.1177/104990910502200208.
16. Clark L, Leedy S, McDonald L, Muller B, Lamb C, Mendez T, et al.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hospice interdisciplinary team memb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7;10(6):1321–1328. https://doi.org/10.1089/jpm.2007.0035.
17. Schwartz-Barcott D, Kim HS.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ia (PA): Saunders. 2000;129-159.
18. Yi MS, Lee SW, Kim KJ, Kim MG, Kim JH, Lee KH, et al. A review study on the strategies for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3):493–502. https://doi.org/10.4040/jkan.2006.36.3.493.
19. Patton MQ. Enhancing the quality and credibility of qualitative analysis. Health Services Research 1999;34(5Pt2):1189–1208.
20.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21. Merrian-Webster's Dictionary. Spirit [Internet]. MA: Merriam-Webster Inc; 2023. [cited 2023 May 1]. Available from: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spirit.
22. Wikipedia. [Internet]. CA: Wikipedia Inc; 2023. [cited 2023 May 1]. Available from: https://en.wikhttps://en.wikipedia.org/wiki/Main_Page.
23.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5):1145–1155. https://doi.org/10.4040/jkan.2000.30.5.1145.
24. Frankl VE.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Lee SH. translator. Paju, Korea: Cheong-A Press; 2005. p. 1-220.
25. Kang SB, Park ES, Kim GS, Song SJ, Chung YK, Kim YR, et al.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vision of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for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08;1(30):1–28.
26. Park SY, Kwon SM. A theoretical review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meaning in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2;31(3):741–768.
27. Cho OK, Youn HJ. Mindfulness, is it a single or complex concept? 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2013;19(2):145–171.
28. Kim JH. Understanding of meditation and mindfulness. Korean Journal of Meditation 2018;8(1):1–22.

Appendix

Appendix 1. List of Studies Included in a Concept Analysis

A1. Choi GH, Kim JY. Concept analysis of Korean spiritual health: using a hybrid model.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1;27(2):117-131. https://doi.org/10.5977/jkasne.2021.27.2.117

A2. Ko IS, Choi SY, Kim J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2):242-256. https://doi.org/10.4040/jkan.2017.47.2.242

A3. Kang HJ, Lee HS, Choi HN. Concept mapping on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6;17(2):25-45. https://doi.org/10.15703/kjc.17.2.201604.25

A4.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3;15(4):711-728.

A5. Ko YH, Oh SW. Comparison of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ressivity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2;31(1):171-186.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9

A6. Song HS, Yi SJ, Lee SH. The conceptual analysis of nurture dejection: hybrid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20;15(3):269-282. https://doi.org/10.21097/ksw.2020.08.15.3.269

A7. Lee EJ, Baek SE, Cho YM. Validation of the professional selfcare scale for Korean counselo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9;20(5):245-271 https://doi.org/10.15703/kjc.20.5.201910.24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process.

Table 1.

Attributes and Indicators of Spiritual Self-care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Phase and Final Analytical Phase

Attributes in theoretical phase Attributes in final analytical phase Indicators
Relationship Relationship ∙ Self
∙ Other persons
∙ Community (Collaboration among team members)
∙ The absolute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 Sense of calling
Mindfulness Transcendence ∙ Mindfulness
∙ Meditation
∙ Overcoming the Limits
Self-awareness Internal resource ∙ Self awareness
∙ Self-esteem building
∙ Look at the strong point
∙ Professional competence (performance ability, continuous education)
Work-Rest balance ∙ Relaxation
∙ Leisure time